韓 항공물류 공급 최대 90% 감소

 

■ 한국 연간 수출액 규모 및 증감률 추이 <단위: 1억 달러, %> ※ 출처: 한국무역협회.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전 세계 경제가 패닉 상태에 빠진 가운데,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 허창수)는 코로나19로 인한 항공 공급망 훼손으로 한국 수출이 최대위기를 맞고 있다며 항공업계와 수출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호소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생산 공장들의 가동중단과 더불어 여객·화물기 운항 축소로 한국 수출은 설상가상에 놓였다. 수출기업은 여객기 벨리 카고(Belly Cargo) 공급 급감으로 인한 운임 인상, 운송 지연 증가로 인한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고부가가치 제품은 항공 수요가 많아, 10대 수출품이 고부가가치 산업군인 한국수출에 더 치명적이다.

국제 물류기업 어질리티 로지스틱스는 운항축소로 한국발 항공화물을 기준으로 여객기 화물적재량이 도착지 기준 거의 모든 노선에서 90-100% 가량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화물기는 50-60% 이상이 감소했다.

이는 베트남의 경우 화물기 화물적재량 감소가 중국행·일본행 1~10%, 유럽행은 30-40% 가량만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뿐만 아니라 공항 내 화물적체(Backlog)도 심각한 수준으로, 이는 한국이 중국에 이어 코로나19 유행시기가 빨랐던 만큼 조기에 광범위한 입국제한조치가 이루어진 탓인 것으로 분석된다.

공급 축소로 국제 항공운임은 계속해서 치솟고 있다. 한국만큼 항공기 발이 묶인 중국의 경우, 3월 30일 화물운송료 지수 TAC Index 기준 상하이-북미 항공화물 요금이 2월 마지막 주에 비해 117% 가까이 올라 이 지수가 생긴 2016년 이후 최고가인 kg당 6.59달러까지 치솟았다.

전경련은 지금과 같이 항공편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항공운임의 지속적 상승이 불가피해 결국 우리 수출기업의 부담가중과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의 수출 난맥 해소와 항공 운송망 정상화를 위해서는 입국제한조치 해제와 함께 당장 줄도산 위기에 처한 항공업계에 대한 지원이 급선무라는 주장이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추산 2015년 180여 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메르스 사태 당시 경제 피해규모는 2조 3,000억 원으로, 현재 코로나19 확진자 숫자가 메르스에 비해 50배가 넘는 상황에서 그 경제적 여파는 더욱 클 것으로 우려된다. 전경련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항공화물 정상화와 함께, 우리 수출을 견인하는 5대품목(반도체, 석유제품,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및 항공업계에 대한 금융·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카고뉴스(Cargo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