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 수립

정부는 이달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8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개최하고, 전국 12개 신항만에 대한 중장기 개발계획을 담은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을 확정했다.

20년 만에 수립된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은 전국 12개 신항만에 대해 2040년까지 재정 16조 819억 원, 민자 25조 7,734억 원 등 총 41조 8,553억 원을 투자하여 부두 총 119선석, 배후부지 3,956만m²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연간 4억 3천만 t의 화물 처리시설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2040년에는 연간 총톤수 18억 5천만 t, 컨테이너 4,873만 TEU 처리능력을 갖추게 된다.

해양수산부(장관 : 문성혁)는 제1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 고시 이후 전국 10개 신항만에 부두 156선석, 배후부지 1,176만m2을 조성하여 신항만의 활성화를 도모해왔다.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은 기존 10개 신항만에 제주신항, 동해신항을 추가로 지정했다. 동해신항을 신북방정책에 맞춰 환동해 전진기지로 육성해 나간다.

해양수산부는 항만별로 정책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세부적인 추진전략을 수립하였다. 먼저, 부산항 신항은 21선석 규모의 제2신항 개발을 통해 2만 5,000 TEU급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메가포트(Mega-Port)로 육성한다.

대형선박 접안을 위해 부두규모를 증대(안벽 350m → 400m, 장치장 길이 600m → 800m)하고 수심을 23m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스마트 자동화 항만, LNG벙커링 터미널, 수리조선단지 등을 구축해 2040년까지 물동량 기준 세계 3위 항만으로 도약시켜 나가고자 한다.

광양항은 제철·석유화학산업, 자동차‧컨테이너화물 처리, 해운·항만 물류 연구개발(R&D) 등의 집적을 통해 물류시장을 선도하는 항만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제조·물류기업의 입주가 가능한 총 1,115만㎡ 배후부지를 공급해 연관산업을 집적시키고, 석유·철재·목재 등의 화물전용부두 확보, 배후단지 전력용량 확대를 통해 기업의 물류‧제조활동을 지원한다. 유럽의 로테르담항만을 벤치마킹해 세계적인 스마트‧친환경 산업물류 항만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인천항, 평택‧당진항, 새만금신항, 목포신항은 신남방‧대(對)중국 교역 중심축으로 육성한다. 인천신항에는 스마트 친환경 컨테이너 부두 5선석을 확충하여 2015년 개장 이후 급격히 늘어나는 수도권 화물을 수용하고, 인근 배후도시와 상생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인천북항 진입항로 준설을 통해 5만 톤급 이상의 대형선박이 조수대기 없이 안전하게 통항할 수 있도록 관련 기반시설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새만금신항은 농생명·식품·물류·관광산업과 연계한 환황해권 거점항만으로 육성한다. 선박 대형화에 대비하여 기존 2~3만 t급으로 계획된 부두 규모를 5만 t급으로 확대하고, 새만금신항 조기 활성화를 위해 일부부두(크루즈·잡화부두 2선석)를 재정으로 전환한다.

울산신항, 포항영일만항, 동해신항 등 환동해권의 신항만은 신북방시대에 대비한 대북방 경제 전진기지로 육성하고자 한다. 울산신항은 LNG탱크, 벙커링 터미널 등을 조성하여 유류, 액체화물을 처리하는 ‘오일허브’에서 LNG가스까지 함께 처리하는 ‘동북아 에너지 허브항만’으로 거듭나도록 하고, 동해신항은 우리나라 산업원자재 최대 수출입항만인 만큼 대북방 경제 전진기지로 육성하기 위해 석회석, 기타광석, 석탄 등의 원자재 부두 7선석을 확충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항만의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을 도모하여 항만경쟁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며, 이번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에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도 담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기존 항만의 화물처리 과정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5G 등의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항만을 부산항 신항 2-6단계, 인천신항 1-2단계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또한, 2020년부터 IMO의 선박 황산화물 배출 규제의 영향으로 친환경 LNG 추진 선박으로의 전환이 확대됨에 따라 LNG 선박 급유시설뿐만 아니라 2만 TEU 이상의 대형선박 수리가 가능한 ‘수리조선단지’를 조성하여 항만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단순 수출입, 환적화물 처리기능을 넘어선 고부가가치 항만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카고뉴스(Cargo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