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 교통물류 네트워크 구축 논의

서울역에서 출발한 기차를 타고 유럽 배낭여행을 나선다. 한반도는 실제 유럽과 하나의 대륙으로 연결돼 있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아직 ‘꿈’에 더 가까운 일이다. 유라시아대륙은 세계 육지 면적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 어마어마한 대륙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는 국제 교통물류망의 구축은 국가적 차원의 이해관계나 국가간 무역에서의 효율성, 물류 비즈니스 차원에서의 득실을 넘어서는 가치와 의미를 갖는다. 이는 특히 우리나라 사람에게 더 강하게 적용된다. 서울에서 유럽으로의 기차 여행이 물리적으로 가능함과 동시에 또 역시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11일부터 13일 까지 ‘SEM 유라시아 교통물류 국제 전문가그룹 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됐다.

이 회의는 세계 육지면적의 40% 가량을 차지하는 유라시아 대륙을 하나로 연결하는 국제 교통물류망 구축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이번 행사는 유라시아 대륙을 향한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과 함께 지난해 9월 서울에서 진행된 ‘ASEM 유라시아 교통물류 국제심포지엄’과 연장선상에 있는 행사다.

당시 심포지엄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이 유라시아 지역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는 세부적인 방안을 논의할 수 있도록 전문가 중심 토론의 장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함에 따라 이뤄진 행사다.

전문가 그룹 회의의 개막식에는 ASEM 회원국 정부대표를 비롯해 57개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는 OECD 산하 교통분야 국제기구인 국제교통포럼(International Transport Forum)과 동유럽 및 중앙아의 14개 회원국을 주축으로 EU와 아시아 간 교통회랑 구축을 추진하는 국제기구인 TRACECA(TRAn-sport Corridor Europe-Caucasus-Asia), 한·러·중·몽 4개국이 참여하는 동북아 다자협의체 GTI(Greater Tumen Initiative) 등 국제기구 수장을 포함해 관련 분야 전문가와 유관기관 관계자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또한 전문가그룹 회의의 세부 세션은 작년 국제 심포지엄에서 ASEM 회원국의 합의로 채택된 ‘서울선언문’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 한반도종단철도(TKR)-시베리아횡단철도(TSR) 연계 등 교통망 연결을 논의하기 위한 인프라 세션 △ 각국마다 상이한 통관·검역 제도의 비효율을 해소하기 위한 운영제도 세션 △ 주요 사업들을 실현시키기 위한 재원 마련 방안을 논의하는 투자재원 세션 등 세 가지로 구분해 진행됐다.

이번 전문가그룹 회의는 한·중·러·몽 4개국이 공동으로 역내 교통개발 전략을 논의하는 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 교통 분과위원회와 동시에 개최돼 유사한 목적의 두 회의 결과를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해외진출 사업을 소개하기 위한 특별 세션과 외국 참석자에 대해 남북통일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비무장지대(DMZ) 투어 등 현장견학 프로그램을 제공해 참석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이끌어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행사에 대해 “유라시아 교통물류 네트워크 구축을 논의하기 위한 첫 번째 전문가그룹 회의를 국내에서 개최해 유라시아 지역 내 우리나라의 주도권 확보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며 “차질없는 행사 진행과 내년 전문가그룹 회의 개최 예정국인 인도네시아와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전문가 그룹 운영의 지속성과 실효성을 확보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국제유라시아철도연합은 이주영 새누리당 의원과 공동으로 유라시아 철도망 구축사업의 실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세미나를 개최하기도 했다. 지난달 1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세미나를 통해 현재 유라시아 철도망 구축 사업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사업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이주영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유라시아 철도는 부산에서 출발해 블라디보스톡과 모스크바를 거쳐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까지 연결되는 새로운 차원의 실크로드라고 할 수 있다. 유라시아 대륙 전체를 연결하는 거대한 사업의 중심에 우리나라가 있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라며 “이는 중국이 최근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 정책과 동일한 지위를 갖는 것으로 한반도가 유라시아 대륙을 관통하는 물류 허브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카고뉴스(Cargo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