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열린 선화주 워크샵에서 정기선과 부정기선 부문으로 나뉘어서 이뤄진 분임토의에서 선사와 화주들은 의견을 개진하며 합의점을 도출을 시도했으나 상당부분 이견을 보였다.

정기선 부문에서 화주들은 최근 원자재 가격 폭등과 환율하락으로 인해 수출입 업체들의 채산성이 악화된 가운데 해상운임의 인상은 무역업계에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한 근해항로의 경우 최저운임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는 엄연한 불공정거래에 해당하기 때문에 개선을 요구했다. 그리고 화주들은 최근 근해 선사들이 저운임으로 고충을 겪고 있는 것은 이해하고 있으나, 운임인상은 부담이 크기 때문에 한 달을 기준으로 월초와 월중, 월말로 고루 분산해 선적일정을 맞출 경우 운임동결 및 운임인하 등의 조정을 요청했다. 이어 대형 화주들도 기존의 불공정한 관행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선주측은 대형 화물들이 낮은 운임만을 찾아 외국적 선사를 이용하는 사례가 많아서 국적 선사들의 운영에 어려움을 가중하고 있기 때문에 화주들의 물량 개런티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 운임동맹의 인상안 및 최저 운임제는 어디까지나 가이드라인일뿐, 실제 시장에서 선사들의 운임은 천차만별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화주들이 주장하는 선사들의 고운임에 대해서는 용선료 폭등, 유가상승 등의 이유가 있으며, 이는 선사들의 운영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편 이들은 부산지역 컨테이너세의 폐지에 대한 선화주 공동건의를 비롯, 부실 포워더에 대한 통폐합 문제, 광양항 인-아웃바운드 불균형 조정에 대한 정책배려, 선사들의 자정노력, 물류관련 개선 사례의 공유에 대해서 공동제안을 했다.

부정기선 부문에서 화주측은 먼저 선사에게는 운임 리스크에 대한 부담이 없고, 화주들도 운임 시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운송수단을 확보할 수 있는 전용선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현재 선가가 높은 상황인 만큼 3~5년 장기용선계약으로 운영하며 시황을 지켜본 후에 도입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외국선사와 장기계약 체결은 특혜가 아니라 합리적 수준에서 조건이 맞았기 때문이므로 국적 선사들도 이에 따른 경쟁력을 확보할 것을 주문했다. 이러한 계약건에 대해 국부유출이라고 선주들이 비난하나, 국적선사들 또한 외국선박을 용선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의견이다.

이에 대해 선주측은 부정기선 계약에도 정기선 계약처럼 유가할증료나 통화할증료 등을 통해 유가 및 환율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완화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선사들 간의 운임인상을 독점권을 이용한 담합이라고 비난하나 그 목적은 어디까지나 도산하지 않을 정도의 수준이라고 강변했다. 그리고 예전에 선사들의 기반이 약해서 외국적 선사들의 진입을 막을 수 없었으나, 지금은 가능하므로 국적 선사를 적극적으로 이용해 줄것을 당부했다.

반면 이들은 전용선 도입과 대형선의 경우 시황을 참고할 수 있는 지수가 있으나 소형 근해 선박의 경우는 그러한 자료가 없기 때문에 KMT 등에서 이를 지수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는 같은 입장을 취했다.

김진희 기자 press@cargonews.co.kr



저작권자 © 카고뉴스(Cargo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